서울형 가사서비스 신청 받습니다 - 1만 1천가구 지원
서울시가 서울형 가사서비스를 대폭 확대하며, 임산부와 맞벌이, 다자녀 가정을 위한 지원을 강화합니다. 올해부터는 지원받을 수 있는 가구수를 확대하고, 예산도 크게 늘렸다고 하는데요,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, 어떻게 신청할 수 있는지 같이 알아보겠습니다.
1. 서울형 가사서비스, 어떤 점이 개선되었나요?
먼저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대상의 소득기준을 완화했습니다. 중위소득 150%이하에서 180%이하로 완화하여 지원할 수 있는 대상자의 폭이 넓어졌어요. 또, 이용 방식도 기존 10회에서 차감되는 방식이 아니라, 총 70만원 한도 내에서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바꾸었습니다.
기존에는 지역별로 지정된 업체만을 이용할 수 있었는데요, 올해 개선이 되면서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정 업체라면 어떤 업체든지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
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도 확대가 되었는데, 기존에는 정리 수납과 같은 일부 서비스는 제한되었지만 이제는 업체별 특화 서비스로 원하는 형태의 서비스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.
2. 어떻게 신청하고 사용할 수 있나요?
1) 신청 기간과 신청 채널
25년 1월 20일 09시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이 가능하며, 서울맘케어(www.seoulmomcare.com)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됩니다.
2) 지원 대상
서울 거주 중위소득 180%이하 중 12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임산부, 맞벌이, 다자녀 가정
소득기준표 | 가구원수 별 소득기준 금액(월평균 소득) | |||||
2인 | 3인 | 4인 | 5인 | 6인 | 7인 | |
중위소득 180%이하 | 7,079,000 | 9,046,000 | 10,976,000 | 12,795,000 | 14,517,000 | 16,180,000 |
- 임산부 : 임신 3개월부터 출산 후 1년 이내 가구
- 맞벌이 : 주 20시간 이상 근로하며 12세 이하(2012. 1. 1 이후 출생)자녀 양육
- 다자녀 : 18세 이하(2006.1.1이후 출생) 자녀가 2자녀 이상이며, 12세 이하 자녀가 반드시 1명은 있어야 합니다.
신청 접수 후 자격확인, 우선순위를 통한 심사 절차를 거쳐 이용자를 선정하고, 선정 결과는 개별 통보됩니다.
3) 지원 내용
신청 1가정 당 연 70만원 상당의 바우처를 신용(체크)카드로 지급합니다. 서비스를 지원하는 카드사는 신한(국민행복), 삼성, KB국민, 우리, BC(IBK기업, 우체국, 새마을금고) 카드입니다.
4) 사용처
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정 업체에 사용할 수 있으며, 업체 리스트는 서울맘케어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합니다.
마치며
임산부나 맞벌이, 다자녀 가정은 특히 육아와 집안일, 회사일을 병행하기가 쉽지 않은데요, 많은 분들께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제도인 것 같습니다. 소득기준이 있기는 하지만, 마감되기 전에 빠르게 신청하여 혜택을 받아 보면 좋을 것 같아요!
'똑똑한 엄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입학준비금 신청하기 (0) | 2025.01.25 |
---|---|
서울형 키즈카페머니로 서울형키즈카페 저렴하게 이용하세요! (0) | 2025.01.21 |
연말정산 자녀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완벽 정리 (0) | 2025.01.17 |
여자 초등학생 신학기 책가방 추천 (종류, 사이즈, 무게, 가격) (0) | 2025.01.16 |
2025년 자동차세 연납으로 절세하기! 혜택과 신청 방법 (0) | 2025.01.16 |